정부가 저소득 근로·사업소득자들의 자립 기반 마련을 돕기 위해 운영 중인
‘희망저축계좌Ⅱ’는 단순한 적금이 아닙니다.
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함께 돈을 얹어주는 매칭형 제도로,
성실히 3년을 유지하면 최대 1,080만~1,500만 원 이상을 받을 수 있는
대표적인 자산형성 지원사업이에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달라진 신청 조건, 지원 구조, 주의사항까지
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👤 1. 신청 대상 및 소득 기준
희망저축계좌Ⅱ는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층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직장인, 프리랜서, 아르바이트생까지 모두 가능해요.
단,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여야 합니다.
| 2인 | 393만 원 | 197만 원 이하 |
| 3인 | 502만 원 | 251만 원 이하 |
| 4인 | 609만 원 | 305만 원 이하 |
| 5인 | 694만 원 | 347만 원 이하 |
✔️ 직장인·프리랜서·아르바이트생 모두 가능
❌ 중복 불가: 희망플러스통장, 청년내일저축계좌 등
⭕ 중복 가능: 꿈나래통장, 디딤씨앗통장(아동 대상)
즉, 이미 다른 자립형 매칭통장을 가지고 있다면 중복신청이 어려울 수 있으니
신청 전 반드시 담당자에게 중복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아요.
🏦 2. 지원 구조 및 매칭금액
이 제도의 핵심은 바로 정부 매칭 지원금입니다.
본인이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,
정부가 매년 금액을 점점 늘려 총 72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해줘요.

- 1년차: 매달 10만 원 지원
- 2년차: 매달 20만 원 지원
- 3년차: 매달 30만 원 지원
➡️ 3년간 정부 매칭금 총액: 720만 원
즉, 내가 3년간 매월 10만 원씩 총 360만 원을 저축하면,
정부가 720만 원을 더해 총 1,08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.
💡 즉, 3년간 성실히 유지하면
- 본인 저축액: 10만 원 × 36개월 = 360만 원
- 정부 매칭금: 720만 원
👉 총 1,080만 원 수령 가능!
이건 단순 적금이 아니라,
저축 습관 + 정부 지원금 + 자립 역량 강화를 함께 챙길 수 있는
‘자립 지원형 매칭 제도’라고 보면 됩니다 🌱
🎁 3. 자활근로 참여자 추가 혜택
만약 자활근로사업(근로유지형 제외)에 참여 중이라면
추가로 두 가지 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| 내일키움장려금 | 월 20만 원 | 자활근로 12일 이상 참여 |
| 내일키움수익금 | 월 최대 15만 원 | 참여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 |
이 두 가지를 합치면
3년간 총 1,500만 원 이상의 실질 지원 효과를 받을 수도 있어요 💵
(단, 근로유지형·인턴형은 제외됩니다.)
📝 4. 신청 방법 및 절차
신청은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접수로만 가능합니다.
온라인 접수는 되지 않아요.
✅ 신청 절차
1️⃣ 주민센터 방문 → ‘희망저축계좌Ⅱ’ 신청서 작성
2️⃣ 소득·재산 조사 및 자격 심사
3️⃣ 대상자 확정 후 통장 개설 (지정 금융기관)
✅ 필요 서류
- 신분증
- 통장사본
- 근로 또는 사업소득 증빙서류 (급여명세서, 거래명세표 등)
접수 후 약 1~2개월 이내에 대상자 확정 문자가 발송됩니다.
📚 5. 유지 조건 및 주의사항
희망저축계좌Ⅱ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,
**“3년간 성실한 근로활동과 자립 교육”**을 함께 이수해야 하는 제도입니다.
✅ 3년간 근로활동 유지
✅ 자립역량교육 10시간 이수
✅ 자금사용계획서 제출
⚠️ 중도 해지 시에는 지원금 일부만 지급되며,
정상 유지 시에만 정부지원금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또한 유사 제도(희망플러스통장 등) 중복 참여는 불가하므로
신청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.
🍯 6. 꿀팁 & 신청 마감 안내
1️⃣ 소득증빙 필수 — 근로·사업소득 확인이 반드시 돼야 합니다.
2️⃣ 유사 제도 중복 불가 — 특히 ‘희망플러스통장’ 참여자는 신청 불가.
3️⃣ 2025년 10월 24일(금) 마감 — 예산 소진 시 조기마감 가능.
4️⃣ 주민센터는 오전 방문이 가장 원활합니다 ☀️
📍 접수 장소: 거주지 주민센터 복지부서
📍 문의: 보건복지상담센터 (☎ 129)
💡 7. 한 줄 요약 정리
“3년간 월 10만 원만 저축해도 정부가 720만 원을 얹어준다!”
자활근로자는 장려금 포함 최대 1,500만 원 이상 목돈 마련 가능 💰
**2025년 10월 24일(금)**까지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꼭 신청하세요.
예산 조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둘러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.
✅ 마무리 요약
- 월 10만 원 저축 × 3년 유지 = 총 1,080만 원
- 자활근로 참여자는 최대 1,500만 원 이상 가능
- 단순 적금이 아닌 ‘자립형 매칭 지원 제도’
- 근로·사업소득 있는 누구나 신청 가능
“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통장,
희망저축계좌Ⅱ로 내 미래의 종잣돈을 만들어보세요.”
'생활복지 실속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💳 2025년 혜택 끝판왕 체크카드 TOP 4 : 배달·커피·쇼핑·교통·OTT 전부 되는 실속형 카드 총정리 (0) | 2025.10.20 |
|---|---|
| [2025년 8월기준] 5대 고금리 파킹통장 비교 : 짠테크러 필수템! 조건별 금리·가입꿀팁 총정리 (0) | 2025.10.20 |
| [2025] 운동비 소득공제 300만원 완벽정리 : 헬스장·PT·필라테스 세금 환급 받는 법 총정리 (0) | 2025.10.19 |
| [2025]으뜸효율 가전 10% 환급 후기: 신청 방법부터 빠르게 받는 팁까지 총정리! (0) | 2025.10.11 |
| 국가유공자 가족이라면 꼭 알아야 할 군지원센터 혜택! (가전제품 최저가 구매가능) (0) | 2025.10.09 |